当前位置:>>在线翻译>>韩文西记法

韩文西记法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

  제1항 국어의 로마자 표기는 국어의 표준 발음법에 따라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로마자 이외의 부호는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다.

  제2장 표기 일람 제1항 모음은 다음 각호와 같이 적는다.

  단모음

  

a eo o u eu i ae e oe wi
이중 모음

  

ya yeo yo yu yae ye wa wae wo we ui
[붙임 1] 'ㅢ'는 'ㅣ'로 소리 나더라도 'ui'로 적는다.

  

(보기) 광희문 Gwanghuimun
[붙임 2] 장모음의 표기는 따로 하지 않는다. 제2항 자음은 다음 각호와 같이 적는다.

  파열음

  

g, k kk k d, t tt t b, p pp p

  파찰음

  

j jj ch

  마찰음

  

s ss h

  비음

  

n m ng

  유음

  

r,l

  [붙임 1] 'ㄱ, ㄷ, ㅂ'은 모음 앞에서는 'g, d, b'로,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k, t, p'로 적는다.([ ] 안의 발음에 따라 표기함.)

  [붙임 2] 'ㄹ'은 모음 앞에서는 'r'로,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l'로 적는다. 단, 'ㄹㄹ'은 'll'로 적는다.

  

(보기) 구 리 Guri 설 악 Seorak 칠 곡 Chilgok
  임 실 Imsil 울 릉 Ulleung 대관령[대괄령] Daegwallyeong

  3장 표기상의 유의점

  제1항 음운 변화가 일어날 때에는 변화의 결과에 따라 다음 각호와 같이 적는다.

  자음 사이에서 동화 작용이 일어나는 경우

  

(보기) 백마[뱅마] Baengma 신문로[신문노] Sinmunno 종로[종노] Jongno
  왕십리[왕심니] Wangsimni 별내[별래] Byeollae 신라[실라] Silla

  'ㄴ, ㄹ'이 덧나는 경우

  

ya yeo yo yu yae ye wa wae wo we ui
0

  구개음화가 되는 경우

  

ya yeo yo yu yae ye wa wae wo we ui
1

  'ㄱ, ㄷ, ㅂ, ㅈ'이 'ㅎ'과 합하여 거센소리로 소리 나는 경우

  

ya yeo yo yu yae ye wa wae wo we ui
2다만, 체언에서 'ㄱ, ㄷ, ㅂ' 뒤에 'ㅎ'이 따를 때에는 'ㅎ'을 밝혀 적는다.

  

ya yeo yo yu yae ye wa wae wo we ui
3[붙임] 된소리되기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ya yeo yo yu yae ye wa wae wo we ui
4 제2항 발음상 혼동의 우려가 있을 때에는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쓸 수 있다.

  

ya yeo yo yu yae ye wa wae wo we ui
5

  제3항 고유 명사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는다.

  

ya yeo yo yu yae ye wa wae wo we ui
6

  제4항 인명은 성과 이름의 순서로 띄어 쓴다. 이름은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쓰는 것을 허용한다.

  ( ( )안의 표기를 허용함.)

  

ya yeo yo yu yae ye wa wae wo we ui
7

  이름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화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ya yeo yo yu yae ye wa wae wo we ui
8

  성의 표기는 따로 정한다.

  제5항 '도, 시, 군, 구, 읍, 면, 리, 동'의 행정구역 단위와 '가'는 각각 'do, si, gun, gu, eup, myeon, ri, dong, ga'로 적고, 그 앞에는 붙임표(-)를 넣는다. 붙임표(-) 앞뒤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화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ya yeo yo yu yae ye wa wae wo we ui
9 [붙임] '시, 군, 읍'의 행정 구역 단위는 생략할 수 있다.

  

(보기) 광희문 Gwanghuimun
0

  제6항 자연 지물명, 문화재명, 인공축조물명은 붙임표(-) 없이 붙여 쓴다.

  

(보기) 광희문 Gwanghuimun
1

  제7항 인명, 회사명, 단체명 등은 그동안 써 온 표기를 쓸 수 있다.

  제8항 학술 연구 논문 등 특수 분야에서 한글 복원을 전제로 표기할 경우에는 한글 표기를 대상으로 적는다. 이때 글자 대응은 제2장을 따르되 'ㄱ, ㄷ, ㅂ, ㄹ'은 'g, d, b, l'로만 적는다. 음가 없는 'ㅇ'은 붙임표(-)로 표기하되 어두에서는 생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기타 분절의 필요가 있을 때에도 붙임표(-)를 쓴다.

  

(보기) 광희문 Gwanghuimun
2

   ① (시행일) 이 규정은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② (표지판 등에 대한 경과 조치) 이 표기법 시행 당시 종전의 표기법에 의하여 설치된 표지판(도로, 광고물, 문화재 등의 안내판)은 2005. 12. 31.까지 이 표기법을 따라야 한다.

  ③ (출판물 등에 대한 경과 조치) 이 표기법 시행 당시 종전의 표기법에 의하여 발간된 교과서 등 출판물은 2002. 2. 28.까지 이 표기법을 따라야 한다.

网友关注